실거래가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요즘 뉴스에서 아파트 값은 물론 모든 부동산 값이 뚝뚝 떨어지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자들은 대체 어떻게 집값이 떨어지는 걸 알까?' 또 '우리 아파트 단지는 얼마에 거래가 됐을까?'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고 한번 우리 집은 어떤지 검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실거래가를 확인하는 사이트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입니다.
여기서는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토지, 공장, 창고 등 모든 부동산에 대한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아파트의 경우 아실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실거래가를 확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에 사이트를 알아보고 아실은 간단하게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바로가기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하기
오늘은 우리나라의 대장 아파트라고 불리는 압구정동에 위치한
현대아파트의 실거래가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지도를 압구정 현대아파트 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내가 알아보고 싶은 단지의 숫자 혹은 빨간색 이모티콘을 클릭합니다.
그 후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매매와 전월세 탭이 보이고
매매 탭이 자동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압구정 현대 5차의 경우 2022년 4월 12일에 41억 원에 10층이 거래가 됐었고
2022년 6월 2일 거래가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매 옆에 전월세 탭을 누르면 임대차 거래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압구정 현대 5차의 경우 2022년 8월 29일에 9층이 보증금 5,000만 원 / 월세 273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너무 싼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압구정 현대 아파트는 오래 된 아파트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임차인들 역시 오래 거주 중 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5% 임대료 상한에 걸려 있어 큰 폭으로 오르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새로운 계약의 경우 원래 시세대로 거래가 될 것입니다.
연립/다세대 실거래가 확인하기
이번에는 요즘 가장 핫한 지역인 성수동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립/다세대 밀집 지역이기도 한 성수동, 그중 뚝섬역으로 지도를 이동합니다.
가장 눈에 띄는 단지를 클릭하고 상세보기를 눌러줍니다.
뚝섬역에 위치한 프라임 27B라는 다세대주택은 2020년 7월 17일 2억 7천만 원에 거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전월세는 2022년 8월 5층이 2억 2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두 가지 가격 차이가 조금 많이 난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2020년 매매 거래는 약 2년 정도 전의 가격이기 때문에 더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2022년 전세 거래는 2년전의 매매 가격보다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확인해야할 부분은 면적입니다.
2020년 매매 거래의 면적은 33.18제곱미터로 약 11평이고
2022년 전세 거래의 면적은 29.74제곱미터로 약 10평 정도입니다.
1평의 면적 차이도 있고 전세의 경우 임대인이 임대사업자라면 5% 밖에 전세 가격을 못 올렸을 것입니다.
다세대, 연립을 구하시는 분들은 내가 계약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실거래가는 물론
인근 시세도 면적과 비교해서 확인하셔서 전세 사기를 예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실은 무슨 사이트인가?
아실은 아파트 실거래가를 줄여서 이름을 지은 사이트입니다.
국토교통부보다 자료가 더 보기 좋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은 아파트와 오피스텔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실 : 바로가기
아실 알아보기
아실의 첫 화면은 전국 지도를 띄워줍니다.
왼편에 위치한 검색창을 이용해도 좋고 주소를 상세하게 설정하셔도 좋습니다.
저는 아까 위에 검색했던 압구정 현대아파트를 검색해보았습니다.
그중 화면에서 압구정 현대아파트 10차를 클릭했더니
왼편에 이렇게 가격들이 표시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에 체결된 계약은 전세 9억 5천만 원으로 2022년 9월 7일에 거래되었습니다.
왼 편에 표시된 탭을 아래로 살짝 내려서 거래현황 더보기를 누르면
과거의 거래내역까지 전부 표시가 됩니다.
최고 전세 거래 가는 11억 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매매 사례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상단에 31억 9천만 원에 거래되었다고 표시되어 있지만
2021년 9월까지는 거래된 내역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이렇게 아파트 실거래가를 확인하는 사이트를 알아보았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사이트가 가장 대표적이고 나라에서 운영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아파트에 한정해서는 아실도 괜찮습니다.
재개발, 재건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눈으로 확인하기 좋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도 확인해보시고
이사하려고 계획 중인 곳도 검색해보셔서 시세에 맞는 계약을 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 > 부동산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형숙박시설, 생숙 전입신고가 될까? 생숙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2.10.07 |
---|---|
공시지가 알아보는 방법, 내 아파트 공시가격은 얼마? (0) | 2022.10.04 |
토지이용계획 확인 하는 방법, 내 땅 용도지역 확인하기 (0) | 2022.09.23 |
등기부등본 발급 받는 방법, 등기부등본에서 봐야 할 것 (1) | 2022.09.19 |
건축물대장 확인 하는 방법, 부동산 계약 시 필수 서류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