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꿀팁

토지이용계획 확인 하는 방법, 내 땅 용도지역 확인하기

자깨부 2022. 9. 23. 16:35
반응형

 토지이용계획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저도 용도지역 확인하는 게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서 한참 헤매었습니다. 건폐율, 용적률 등을 확인하려면 꼭 용도지역을 확인해야 하는데 그것을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는 분, 오늘 이 글을 통해 완벽 해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목차

     

     

    토지이용계획 확인하는 방법

    토지이용계획 어디서 확인할까?

     

    우선 토지이용계획을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사이트들이 많이 있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토지 이음이라는 사이트를 활용합니다.

    눈에 보기 쉽게 잘 정리되어 있어서 아마 처음 들어가 보신 분들도 능숙하게 다루실 것 같습니다.

     

    토지 이음 : 바로가기

     

    토지 이음 살펴보기

     

     가장 먼저 토지 이음 사이트에 접속하면 이런 모습입니다.

    우리가 토지이용계획을 확인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토지의 용도지역을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검색창에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저는 호평동 554-5를 입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 후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이렇게 호평동 554-5에 대한 토지이용 계획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이 토지의 경우 도면이 보여서 상관이 없는데 만약 토지가 너무 작거나 혹은 너무 커서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오른쪽 하단에 있는 축척을 조정하면 됩니다.

    분모에 해당하는 500이 1에 가까울수록 더 확대가 된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위 사진처럼 3000으로 하면 거의 그 토지의 동네가 보일 정도입니다.

     

    자 그러면 이 땅은 용도지역이 무엇일까요?

     

     

    정답은 자연녹지지역입니다.

    토지가 전체적으로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축척 바로 위에 위치한 범례에

    초록색은 자연녹지지역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도면 안에 노란색 부분이 보이시나요?

    그 부분은 1종일반주거지역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용도지역은 이렇게 확인하면 됩니다.

     

    토지이용계획에서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것

     위 사진 처럼 연도별 평당 개별공시지가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토지의 경우 20만 원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총면적이 50제곱미터이니 토지 전체의 공시지가는 대략 1천만 원 정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로 조금 내리면 이렇게 행위가능 여부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가능한 것과 불가능 한 것이 표시되고 이 토지의 경우 아파트를 건축하는 행위는 불가능합니다.

     

     건폐율과 용적률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을 위해 링크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확인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의 의미 : 알아보기

     

    링크를 보고도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첨언을 하자면

    건폐율은 이 땅에 건축물을 20%만 차지하게 하세요~입니다.

    용적률은 이 땅에 건축물을 100% 까지만 올리세요~입니다.

     

     

    자연녹지지역에서 100평짜리 땅이라면

    건폐율 적용 시 건축물이 20평에 해당하는 건물이면서

    용적률 적용 시 5개 층까지 올릴 수 있는 것입니다.

     

    층수와 높이제한도 있습니다. 

    이 땅의 경우는 4층 이하로만 건축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에서 용적률 적용 시 5층까지 가능하다고 말씀드렸는데

    층수 제한으로 4층이 최대가 되는 것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토지 이음이라는 사이트를 활용해서 토지이용계획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하다면 매우 간단하지만 어렵다면 어려운 부동산 공적서류 확인하는 방법을

    이 글을 통해 쉽게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축물대장 발급받는 방법 : 바로가기

    등기사항 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