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정보

부동산 하락기, 인구 감소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까?

자깨부 2022. 12. 28. 13:18
반응형

본격적인 부동산 하락기라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부동산 하락기가 찾아온 뒤 많은 전문가와 시장 참여자들은 부동산 하락의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인구 감소인데, 인구 감소가 부동산 가격 하락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을 한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감소와 부동산가격의 상관관계

목차

    부동산 하락기는 확실한가?

    저는 부동산 하락기가 확실하냐는 말에 과감하게 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기 시작했을 때 엄청난 속도로 치솟던 부동산 가격은

    현재 그 열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그 증거 중 하나로 규제를 하니 올라가던 부동산 가격이

    규제가 하나 둘 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도시의 모습

     

    전문가와 시장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부동산 하락 원인?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금리 인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상은 했겠지만 금리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2배 이상 올라버렸기 때문입니다.

    이는 100만원으로 나가던 이자가 200만 원 이상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100만 원이라는 돈은 누구에게도 작은 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 인구 감소도 있을 것입니다.

    부동산을 찾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데 부동산 가격이 오르겠냐!

    절대적으로 하락할 것이다.라고 말입니다.

     

    다른 원인은 공급 확대입니다.

    인구 감소와 반대되는 성격이라고 생각됩니다.

    인구 감소는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고

    공급 확대는 말 그대로 공급이 늘어나는 상황,

     

    현재 인천, 대구 지역 공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가장 먼저 부동산 폭락의 아픔을 맛본 지역이기도 합니다.

     

    사람이 떨어지고 있다

    인구 감소가 부동산 하락에 영향을 줄까?

    오늘의 주제인 인구 감소가 부동산 하락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제 생각은

    NO입니다.

    물론 인구 감소가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지금 당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핵가족화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1인 가구가 많아지고 있고 청년들이 원룸에서 평생을 거주할 수는 없기에

    투룸을 찾고 쓰리룸을 찾고 더 좋은 환경인 아파트를 찾고 좋은 지역을 찾습니다.

     

    그리고 결혼해서 2인 가구가 생겨나고 자녀 1명을 낳더라도 쓰리룸보다는 포룸을 찾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장의 인구 감소가 부동산 하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가 부동산 하락에 영향을 주는 지역도 있을 것입니다.

    지방 소도시의 경우 하락에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청년층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기 때문입니다.

    핵가족화가 되어가지만 지방에는 부모님만 남아있고

    수도권에서 독립해 살아가는 청년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도권은 앞으로 장기적으로 보면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 이탈 인구가 늘어났다

    부담되는 집 값으로 인해 서울을 이탈하는 인구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서울과 인천지역은 늘어났습니다.

     

    도시별 이동
    출처:통계청, 뉴시스 안지혜 기자 작성 글 중

    경기와 인천 순 유입은 각각 3842명, 2635명으로 총 6477명입니다.

    서울의 유출은 6405명입니다.

     

    즉, 비슷한 숫자가 유입되고 유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구와 부산, 수도권과 먼 광역시 또한 인구가 감소했지만

    충남은 비슷한 숫자가 늘어났습니다.

     

    수도권 근처로 인구가 몰리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산, 울산, 대구경북 지역에 큰 대도시가 생기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사 본문 :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