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전국 부동산이 하락세에 접어들며 뉴스에서도 대세 하락이라는 말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국 부동산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 얼마나 떨어지고 있는지, 왜 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전국 아파트 값, 10년 5개월 만에 최대 하락
전국적으로 부동산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그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은 금리 인상입니다.
최근 미국 연준에서 0.75% 포인트,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우리나라에도
한번 더 금리 인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이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사람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오면서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송파구 잠실동 레이크펠리스와 잠실주공 5단지
레이크펠리스의 경우 84제곱미터 작년 11월에 24억 8천만 원에 거래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월 말 경 거래된 가격은 17억 9,500만 원이었습니다.
1년 만에 약 7억 원가량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잠실주공 5단지의 경우 81제곱미터 직전 거래가 29억 5천만 원이었는데
지난 10월에 24억 4100만 원으로 약 5억 원가량 하락한 모습입니다.
하락세에 접어든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이렇게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는 특수 거래일 수 있기 때문에 확신할 수 없다고 했지만
최근 이렇게 급락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하락세로 굳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 중 일부는 여전히 거래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부동
데이터를 추합 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경매 시장도 얼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경매시장마저 차갑게 얼어가고 있습니다.
상승장 일 때 경매 시장은 낙찰가율이 110%를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낙찰되는 상황을 보면 1회 유찰은 기본이었습니다.
삼성동 아이파크 삼성 경매 낙찰 가격
삼성동 아이파크 삼성 전용면적 157제곱미터의 경우 지난 10월 4일에 48억 900만 원에 낙찰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매물의 경우 감정가가 51억 7천만 원이었습니다.
8월에 있었던 해당 물건의 경매에서 유찰되면서 최저 입찰 가격이 41억 원에 형성되었지만
지난달에 48억 원가량에 낙찰된 것입니다.
실거래가를 살펴보아도 지난 5월 거래된 것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낙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동 신시가지, 유찰 2회째..
목동 신시가지에 경매로 나온 매물이 여러 건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최근에 유찰된 것은 7단지입니다.
7단지 전용면적 101제곱미터는 20억 9,600만 원으로
가장 최근 거래된 25억 4,00만 원보다 낮은 가격임에도 2번째 유찰되었습니다.
이 물건의 경우 2022년 12월에 16억 7680만 원으로 경매가 시작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 가격은 2019년에 거래된 것과 비슷한 가격입니다.
향후 집 값 전망
위에 몇 가지 사례만 말씀드렸음에도 부동산 시장이 매우 얼어있다는 것은
누구든지 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부동산 유튜버들 중에서도 잠시 매수세가 얼었을 뿐
상승은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말하던 사람들도 하락세임을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그 근거로 현재 대한민국에 좋지 않은 사건사고들이 벌어지고 있고
그 사건사고들로 인해 정부에서 부동산에 관심을 두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입니다.
또한, 금리 인상이 멈추지 않는 이상 하락세에 접어든 부동산 가격이
잡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여론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미 매수하신 분들의 경우 급하게 팔려고 하시는 것보다는
감당이 되는 선에서는 관망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동산은 항상 하락과 상승을 반복해왔고 결국엔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습니다.
부동산 상승 사이클은 10~15년 정도 되기 때문에 앞으로 길게는 15년
현재와 같은 상황을 유지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다 보면 분명 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을 발견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사기는 어떻게 당할까? 전세 사기 수법, 예방법을 알아보자 (0) | 2022.11.09 |
---|---|
둔촌주공아파트, 12월에 일반 분양한다? 공사는 차질이 없을까 (0) | 2022.11.08 |
은마아파트 재건축 심의 통과! 이것이 주는 의미는? (0) | 2022.10.31 |
성동구의 부동산 호재는 무엇일까? 부동산 소식 알아보자 (0) | 2022.10.24 |
모아주택, 모아타운 괜찮은 투자일까? (0) | 2022.10.17 |